Exhibitions
2025
ANON
Seoul, South Korea
Solo exhibition
(KR)
ANON의 작업은 빵클립, 성냥갑, 티켓처럼 일상에서 버려지는 사소한 조각들을 다시 불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수집이나 향수가 아니라, 불안과 결핍을 드러내는 방어기제이자 저항의 은유이다.
아논은 소비의 빛나는 표면이 아니라 피로와 공허가 남긴 잔여를 기록하는 것이다.
미루어진 알람, 식지 않은 커피, 읽히지 않은 메시지와 같은 ‘하지 못한 것들’을 아카이빙하며,
부재와 실패가야말로 오늘날을 가장 보편적으로 말해주는 것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유머러스하면서도 씁쓸한 제스처는 개인의 일기를 넘어 세대의 증언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결국 아논의 기록은 우리가 어떻게 살아내고 견뎌왔는지를 은밀하게 보여주는 증거이다.
(EN)
ANON’s practice begins by retrieving overlooked fragments of daily life—
bread clips, matchboxes, tickets. More than mere collection or nostalgia,
these trivial objects become metaphors of absence, anxiety, and quiet resistance.
Departing from the glossy celebration of consumption,
the artist turns instead to what is left undone and discarded. Snoozed alarms,
cold coffee, unwashed dishes, unread messages
—such minor failures form a universal portrait of contemporary life.
Through an archive of what we didn’t do,
ANON captures the spirit of an age defined
not by grand narratives but by small defeats.
What appears humorous at first quickly curdles into unease,
leaving behind both a personal diary and a generational testimony.
(FR)
La pratique d’ANON commence par
la récupération de fragments oubliés du quotidien—
attaches à pain, boîtes d’allumettes, tickets.
Plus qu’un simple geste de collection ou de nostalgie, ces objets
dérisoires deviennent métaphores de l’absence,
de l’angoisse et d’une résistance subtile.
Loin de célébrer la consommation, l’artiste choisit d’archiver
ce qui reste inachevé ou rejeté. Réveils différés, cafés froids,
vaisselle non lavée, messages non lus
—ces petits échecs dessinent le portrait universel de notre époque.
À travers cet archivage de « tout ce que nous n’avons pas fait »,
ANON condense l’esprit d’un temps marqué moins par
de grands récits que par de petites défaites.
Ce qui semblait léger se charge vite d’amertume,
devenant à la fois journal intime et témoignage générationnel.
Seoul, South Korea
Solo exhibition
(KR)
ANON의 작업은 빵클립, 성냥갑, 티켓처럼 일상에서 버려지는 사소한 조각들을 다시 불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수집이나 향수가 아니라, 불안과 결핍을 드러내는 방어기제이자 저항의 은유이다.
아논은 소비의 빛나는 표면이 아니라 피로와 공허가 남긴 잔여를 기록하는 것이다.
미루어진 알람, 식지 않은 커피, 읽히지 않은 메시지와 같은 ‘하지 못한 것들’을 아카이빙하며,
부재와 실패가야말로 오늘날을 가장 보편적으로 말해주는 것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유머러스하면서도 씁쓸한 제스처는 개인의 일기를 넘어 세대의 증언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결국 아논의 기록은 우리가 어떻게 살아내고 견뎌왔는지를 은밀하게 보여주는 증거이다.
(EN)
ANON’s practice begins by retrieving overlooked fragments of daily life—
bread clips, matchboxes, tickets. More than mere collection or nostalgia,
these trivial objects become metaphors of absence, anxiety, and quiet resistance.
Departing from the glossy celebration of consumption,
the artist turns instead to what is left undone and discarded. Snoozed alarms,
cold coffee, unwashed dishes, unread messages
—such minor failures form a universal portrait of contemporary life.
Through an archive of what we didn’t do,
ANON captures the spirit of an age defined
not by grand narratives but by small defeats.
What appears humorous at first quickly curdles into unease,
leaving behind both a personal diary and a generational testimony.
(FR)
La pratique d’ANON commence par
la récupération de fragments oubliés du quotidien—
attaches à pain, boîtes d’allumettes, tickets.
Plus qu’un simple geste de collection ou de nostalgie, ces objets
dérisoires deviennent métaphores de l’absence,
de l’angoisse et d’une résistance subtile.
Loin de célébrer la consommation, l’artiste choisit d’archiver
ce qui reste inachevé ou rejeté. Réveils différés, cafés froids,
vaisselle non lavée, messages non lus
—ces petits échecs dessinent le portrait universel de notre époque.
À travers cet archivage de « tout ce que nous n’avons pas fait »,
ANON condense l’esprit d’un temps marqué moins par
de grands récits que par de petites défaites.
Ce qui semblait léger se charge vite d’amertume,
devenant à la fois journal intime et témoignage générationnel.
NOON-CHI
Rome, Italy
Group exhibition
(KR)
눈치 (Noon-Chi)
2023년, 로마 트라스테베레 중심부에 위치한 팔라초 벨리(Palazzo Velli)에서
열린 이 전시는 K-ART 인터내셔널과 스튜디오아르테22가 공동 주최하고,
미술사학자 베아트리체 코르다로(Beatrice Cordaro)가 기획하였다.
전시의 주제인 ‘눈치’는 한국 문화 속에서 타인의 감정과 생각을 직관적으로 읽어내는 능력을 뜻한다.
이번 전시는 동서양의 다양한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눈치를 예술적 언어로
확장하고 인간 감정과 소통의 보편성을 탐구한다.
외형을 넘어 관계 속에 스며든 미묘한 기류와 정서를 포착하는 것이다.
(EN)
Noon-Chi
In 2023, the exhibition “Noon-Chi” was presented at Palazzo Velli,
a cultural landmark in the heart of Trastevere, Rome.
It was co-organized by K-ART International and Studioarte22,
and curated by art historian Beatrice Cordaro.
The exhibition revolves around the Korean concept of Noon-Chi—
the intuitive ability to perceive the moods and unspoken thoughts of others.
Bringing together artists from East and West, the show translates
Noon-Chi into artistic language, probing the universality of
human emotion and communication. It is an attunement beyond
appearances, attentive to subtle currents of relation and atmosphere.
(FR)
Noon-Chi
En 2023, l’exposition « Noon-Chi » s’est tenue au Palazzo Velli,
un lieu culturel majeur situé au cœur de Trastevere à Rome.
Elle a été co-organisée par K-ART International et Studioarte22,
et commissariée par l’historienne de l’art Beatrice Cordaro.
Le thème de l’exposition s’articule autour du concept coréen de
Noon-Chi, qui désigne la capacité intuitive à percevoir les
humeurs et pensées implicites d’autrui. Réunissant des artistes venus
d’Orient et d’Occident, l’exposition traduit le Noon-Chi en langage artistique,
explorant l’universalité des émotions humaines et de la communication.
C’est une attention qui dépasse l’apparence pour
saisir les nuances des relations et des atmosphères.
Rome, Italy
Group exhibition
(KR)
눈치 (Noon-Chi)
2023년, 로마 트라스테베레 중심부에 위치한 팔라초 벨리(Palazzo Velli)에서
열린 이 전시는 K-ART 인터내셔널과 스튜디오아르테22가 공동 주최하고,
미술사학자 베아트리체 코르다로(Beatrice Cordaro)가 기획하였다.
전시의 주제인 ‘눈치’는 한국 문화 속에서 타인의 감정과 생각을 직관적으로 읽어내는 능력을 뜻한다.
이번 전시는 동서양의 다양한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눈치를 예술적 언어로
확장하고 인간 감정과 소통의 보편성을 탐구한다.
외형을 넘어 관계 속에 스며든 미묘한 기류와 정서를 포착하는 것이다.
(EN)
Noon-Chi
In 2023, the exhibition “Noon-Chi” was presented at Palazzo Velli,
a cultural landmark in the heart of Trastevere, Rome.
It was co-organized by K-ART International and Studioarte22,
and curated by art historian Beatrice Cordaro.
The exhibition revolves around the Korean concept of Noon-Chi—
the intuitive ability to perceive the moods and unspoken thoughts of others.
Bringing together artists from East and West, the show translates
Noon-Chi into artistic language, probing the universality of
human emotion and communication. It is an attunement beyond
appearances, attentive to subtle currents of relation and atmosphere.
(FR)
Noon-Chi
En 2023, l’exposition « Noon-Chi » s’est tenue au Palazzo Velli,
un lieu culturel majeur situé au cœur de Trastevere à Rome.
Elle a été co-organisée par K-ART International et Studioarte22,
et commissariée par l’historienne de l’art Beatrice Cordaro.
Le thème de l’exposition s’articule autour du concept coréen de
Noon-Chi, qui désigne la capacité intuitive à percevoir les
humeurs et pensées implicites d’autrui. Réunissant des artistes venus
d’Orient et d’Occident, l’exposition traduit le Noon-Chi en langage artistique,
explorant l’universalité des émotions humaines et de la communication.
C’est une attention qui dépasse l’apparence pour
saisir les nuances des relations et des atmosphères.
<Cupid and Psyche in Parallel Universe>
<Cupid and Psyche in Parallel Universe> reimagines the Cupid and Psyche story
using quantum physics concepts for a modern take.
Psyche, covered in black, represents unexplored dimensions.
The artwork suggests our reality isn't singular but exists in a spectrum of possibilities.
Unlike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 artwork portrays Cupid as female,
challenging gender norms and highlighting love's ability to transcend societal expectations.
As Cupid approaches Psyche, light reveals hidden truths.
The piece explores the universe's potential, depicting personal growth through unexpected connections.
Quantum physics emphasizes the universe's complexity, broadening perceptions.
The artwork explores the universe's limitless potential through quantum physics,
illuminating the intricacies of love, connection, and human experience.
It encourages embracing life's multifaceted nature.
<평행 우주 속의 큐피드와 프시케>는 현대적인 시각으로 큐피드와 프시케의 이야기를 다루며,
양자 물리학의 개념을 활용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검은 그림자로 묘사된 프시케는 알려지지 않은 차원과 탐험되지 않은 현실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양자 물리학을 배경으로 함으로써 우리의 현실이 하나의 단일한 형태가 아니라
다양한 가능성과 차원의 스펙트럼 속에 존재한다는 개념을 간접적으로 전달한다.
전통적인 큐피드와 프시케의 서술과는 달리, 작품에서 큐피드는 여성으로
묘사되어 기존 정립된 개념들을 초월하는 사랑의 개념을 강조하며,
사랑이 성별과 관계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아낸다.
이 작품은 우주 및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을 탐구하며,
예상치 못한 만남과 관계를 통해 개인적인 성장과 이해를 얻는 과정을 표현한다.
작품을 통해 우주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강조하며, 우리의 인식을 넓히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Cupid and Psyche having Teatime>
<Cupid and Psyche having Teatime> portrays the iconic pair in a tranquil tea gathering, diverging from traditional tension-filled depictions. The artwork highlights love's resilience in unconventional circumstances. Tea-sharing signifies intimacy and communication, while Psyche just about to emerge from shadows symbolizes newfound understanding and connection. The modern Cupid underscores love's ability to surpass gender roles. This piece accentuates love's versatility, thriving in everyday moments with intimacy as a core component. Psyche's emergence symbolizes growth and the exploration of new possibilities through love. Rooted in quantum physics, the artwork modernizes Cupid and Psyche's narrative, conveying love's adaptability across dimensions and echoing society's diversity.
<큐피드와 프시케의 티타임>은 상징적인 두 사람을 평온한 차 모임에서 묘사하며, 전통적인 긴장을 띤 묘사와는 사뭇 다르다. 이 작품은 비전통적인 상황에서의 사랑의 탄생력을 강조한다. 차를 함께 마시는 행위는 친밀함과 의사소통을 나타내며, 그림자에서 벗어나는데 얼마 남지 않은 프시케는 새로운 이해와 연결을 상징한다. 현대적인 큐피드는 사랑이 성 역할을 뛰어넘을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한다. 이 작품은 사랑의 다양성과, 일상적인 순간에서의 친밀함을 중요한 관계의 요소로 강조한다. 프시케의 등장은 성장과 사랑을 통한 새로운 가능성의 탐험을 상징하며, 양자 물리학에 근거한 이 작품은 큐피드와 프시케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사랑의 다차원적 적응력과 사회적 다양성을 전달한다.
row row row your boat
Seoul, South Korea
Group exhibition
(KR)
2018년 서울에서 열린 김유진과 박연수의 공동 전시는 동요
“Row Row Row Your Boat (노를 저어라)”의 후렴구
“life is but a dream (삶은 꿈일뿐)”에서 출발한다. 삶을 강 위의 항해로 은유하며,
현실의 무게와 덧없음, 고독과 동행이 교차하는 순간들을 탐구한다.
반복되는 노랫말처럼 일상도 흐름과 순환 속에서 잠시 머무는 꿈과 같다.
(EN)
Staged in Seoul in 2018, this collaborative exhibition by Yoojin Kim and
Yeonsoo Park took inspiration from the refrain “life is but a dream”
in the nursery rhyme Row Row Row Your Boat.
Life is imagined as a river journey, where weight and transience,
solitude and companionship coexist. Like the song’s cyclical refrain,
daily existence appears as a fleeting dream carried by the flow.
Seoul, South Korea
Group exhibition
(KR)
2018년 서울에서 열린 김유진과 박연수의 공동 전시는 동요
“Row Row Row Your Boat (노를 저어라)”의 후렴구
“life is but a dream (삶은 꿈일뿐)”에서 출발한다. 삶을 강 위의 항해로 은유하며,
현실의 무게와 덧없음, 고독과 동행이 교차하는 순간들을 탐구한다.
반복되는 노랫말처럼 일상도 흐름과 순환 속에서 잠시 머무는 꿈과 같다.
(EN)
Staged in Seoul in 2018, this collaborative exhibition by Yoojin Kim and
Yeonsoo Park took inspiration from the refrain “life is but a dream”
in the nursery rhyme Row Row Row Your Boat.
Life is imagined as a river journey, where weight and transience,
solitude and companionship coexist. Like the song’s cyclical refrain,
daily existence appears as a fleeting dream carried by the flow.
(FR)
Présentée à Séoul en 2018, cette exposition collaborative de Yoojin Kim et
Yeonsoo Park s’inspire du refrain « life is but a dream »
de la comptine Row Row Row Your Boat.
La vie y est figurée comme une traversée sur la rivière,
où se croisent lourdeur et évanescence, solitude et compagnie.
À l’image du refrain cyclique,
l’existence quotidienne se révèle comme
un rêve passager emporté par le courant.
Yeonsoo Park s’inspire du refrain « life is but a dream »
de la comptine Row Row Row Your Boat.
La vie y est figurée comme une traversée sur la rivière,
où se croisent lourdeur et évanescence, solitude et compagnie.
À l’image du refrain cyclique,
l’existence quotidienne se révèle comme
un rêve passager emporté par le courant.